피아노 테크닉

피아노잘치는법 :피아노치는데 너무나 문제가 많은 네번째 손가락을 잘 움직이려면

lucky56561 2025. 3. 11. 06:01

 
어느 날 영국에서 피아노 교사 한 사람이 와서 ' 마스터클래스'를 했다
5명 정도의명정도의 학생 중에  특히 테크닉이 모자라 소리를 많이 빼먹고 치는 아이가 있었다.

가만히 보니.
약간 빠른 부분마다
4번째 손가락이 건반을 제대로 누르지 못하고 겉만 슬쩍 지나가든지,
아님 절뚝거리고 있기 때문이었다.
 
보통, 느린 곡에서는
4번 손가락이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런데 조금 빠른 곡을 칠 때는
 4번손가락을 제대로 사용 못해서 곡을 제대로 연주하지 못하는 경우가
우리나라학생들 중에서도  아주 흔한 문제이다.
 
마스터클래스가 끝난 후  ,
 한 무리의 교사들이 아까 그 소년을 둘러싸고 웅성이고 있었다 .
가만히 들어보니,
4번 손가락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었는데,
모두들 안타깝기 그지없다는 표정으로  그 아이를 위로하며

“오마이가시,
병원 가서 수술을 받아보든지받아보든지.....어쩌구”
 
듣고 있자니하도 안타까워서,
“그것이 아니고 이렇고 저렇고…… “라고 설명하고 싶었지만,
그 선생들이 각자 자기의 학생들도 동반하고 있는지라
나는 그냥 혼자 속으로   " 아유 참 아유 참"만 반복하고 말았다.
 

 

이 4번손가락에 관한 문제는 누구든지 하도 많이 들어왔고,
 
또 여기저기 설명이 많이 되어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잘못 배워 고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 4번 손가락의 근육은 3 손가락근육에 연결되어 있다'

'Schumann 4번 손가락을 강하게 하려고
천정에 실을 묶고 손가락을 잡아당기는 훈련을 하다가
불구가 되었다'


등등 의 말은 잘 알려진 말이다.


잠깐
Josef Hofmann-
1876 생, 1924 미국의 커티스 음악학교 초대 학과장이며
당대 최고 피아니스트-
말을 들어보자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훈련을 위해
추천하고 싶은 과정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Josef Hofmann의

"어떠한 연습곡도 이러한 두 개의 손가락을 훈련시키는데 공헌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예술의 모든 문제들에 있어서는 '무엇에' 보다도
' 어떻게'가 중요한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원하는 것을 연주하도록 하십시오,....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연습하는 동안에는 여러분들이 하고 싶은 대로 팔이나 손을 자유롭게 내버려 두시오"
 
 
 
 

 
 
 
물론

이해하는 사람도 많겠지만 또 이해 안 되는 사람도 많죠

음….그래서

제가 아주 쉽게 그 해결책을 설명해 볼게요

잘 보고 생각하고 이해하세요
 

 
4 손가락 포함해서 모든 손가락을

언제나

' 분홍색부분' 솟아나게 해서
건반을 누르면 됩니다.
 
 
이때



반드시 솟아난 부분에 팔의 모든 무게를 걸고
 
팔은 늘어뜨리듯 힘을 빼고.




 
 
. 흡!


그래도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가요?
 
 
그럼, 다음 그림을 보세요
 
 
 

 
마치 천막이 기둥에 걸쳐진 것처럼,
 
각 손가락의 높이 솟은 곳
( 손바닥과 손가락이 연결되는 관절) 에
팔의무게를 걸면 됩니다.

1개로 때는   한 개의 음에  

2
음을 동시에 때는 2음에 공평하게 같이

3
음을 동시에 때는 그 3음에 공평하게 같이


 
 

물론,더 높은 단계로 가면
 
어떤 특별한 음향을 위해 각 손가락마다 무게 분배를 달리해 주어야 하지만

우선 기본적으로는

모든 손가락에 똑같은 무게를 싣는 것을

느끼고,
 


이해하고,
 
 


연습해야 합니다
 
 
 
 
 
 
이것이 이해되면

 

고른음 내기뿐아니라  
예쁘고 빠른 트릴
정말쉬워집니다.
 
 
 
 
그래도 잘 이해 안되는 사람은
.
.
.
.
.


피아노 건반을 누를 때

자신의 눈을 손끝에 집중하지 말고
( 대부분 손끝에만 신경 씁니다.

물론 ,
기본이 되고 후는 손끝의 감각에 예민해야 하는 것은
 
더욱더 중요하지만
 
우선적으로
 
건반을 누르는 원리를 배울 손끝으로만 건반을 누르지 말고
 
관절부터 누르는 기본을 배워야 합니다 )
 
 


관절에 시선을 두면서

 

건반을 눌러보세요
그러면 , 어렵지 않게 이해가 될것입니다 .
 
 
그리고
 
4번 손가락도 다른 손가락들 같이
전혀 차이 없이 사용할 있게 됩니다.